■ 진행 : 김대근 앵커, 안보라 앵커 <br />■ 출연 : 이주미 충남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br />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 <br /> <br />"명절 잘 보내셨나요"라고 물었을 때,모두가 기분 좋게 "잘 지냈습니다" 라고 답을 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br /> <br />그런데 바람과 현실은 참 다릅니다. 명절이면 불거지는 남녀차별에 가정불화까지, 각종 스트레스가 말 그대로 불치병이 됐습니다. <br /> <br />실제로 목숨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하다는데요, 이게 어떤 내용인지 핵심관계자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br /> <br />충남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주미 교수님 연결되어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br /> <br />[이주미] <br />안녕하세요. <br /> <br /> <br />먼저 명절 증후군이라는 게 진짜 질환인 건지 아니면 특정 이유로 인한 스트레스를 통칭하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br /> <br />[이주미] <br />명절 증후군은 현재 존재하는 진단명은 아닙니다. 문화적, 사회적으로 연결된 일종의 스트레스성 신체화 증상을 의미하며 이는 명절 기간 동안 야기되는 긍정적, 부정적 스트레스로 인해 일시적으로 적응장애가 생긴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br /> <br /> <br />실제 질환명은 없지만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증상이 나타나기는 하잖아요. 이게 정확한 진단 방법이 혹시 있습니까? <br /> <br />[이주미] <br />진단명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 방법이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후유증이 명절이 끝나고도 두 주 이상 지속된다면 우울증, 신체형 장애 등이 온 상태일 수 있으므로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을 해 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br /> <br /> <br />2주 동안 지켜보면 좋다는 말씀이시고요. 그런데 명절 스트레스가 목숨을 위협할 정도로 위험하다면서요? 이게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겁니까? <br /> <br />[이주미] <br />부정적 심리 스트레스는 실험동물 모델에서는 심장병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람에게서는 워낙 많은 원인들과 기관들이 혼재되어 있고 원인들 간에 상호작용이 존재할 수도 있고 사람에 따라서 회복 탄력성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원인과 결과로 해석하기는 아직 어렵습니다. <br /> <br />그렇지만 대한심장학회지에 실린 우리나라 전체 자료를 분석한 메디플렉스 세종병원 한 연구팀에 따르면 설날과 추석 기간에 병원 밖 심정지 발생률이 주중, 주말 그리고 다...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30125084057958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